클라우드·빅데이터·AI 앞세워 스마트헬스 선도 나서

김승민 기자 입력: 2018/05/30 15:14 — 수정: 2018/05/31 16:25

http://www.zdnet.co.kr/view/?no=20180530142524

 

국내 의료업계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스마트헬스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에 나서고 있다.

병원 내부에 머물러있는 의료, 건강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모아 데이터 분석, 활용 사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헬스클라우드 표준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의료기관과 제약사, 의료기기사, 보험사 등 기업에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바이오빅데이터플랫폼, 정밀 의료를 위한 지능형 의료소프트웨어 연구 개발도 진행 중이다.

의료업계와 ICT기업들은 이같은 시도들이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개인정보 활용 기준을 제시해주는 법과 표준화 작업을 정부와 정치권에 요구했다.

29일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표준협회가 서울시 서초구 소재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한 ‘신성장산업 표준기반 R&D 추진전략 발표회’에 스마트헬스 분야 전문가들이 모였다.

 

 

이들은 국내 스마트헬스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진행 중인 사업과 향후 기대되는 의료-ICT 융합 사업 모델, 표준화 전략 등을 소개했다.

안선주 국가기술표준원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현재 표준 연구 개발 중인 ‘헬스클라우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헬스클라우드에 모인 의료, 건강, 유전체 등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의료기관, 헬스케어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다면 환자마다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빠르게 전달하고 기존에는 없던 헬스케어 서비스들도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안 코디네이터는 “향후 헬스케어 관련 기기와 플랫폼, 데이터 들이 헬스클라우드에서 초연결되면 인공지능(AI) 의사도 나올 수 있다. 이미 중국에선 AI 건강검진 로봇 샤오이가 의사면허를 따고 진료에 투입됐다. 앞으로 사람 의료진보다 저렴한 가격에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며 “당뇨병 측정기기 대신 스마트폰으로 당뇨병 여부와 혈당 농도를 바로바로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수진 산업통상자원부 R&D 전략기획단 신산업MD는 병을 미리 예방, 예측해 의료비를 줄일 수 있게 돕는 바이오빅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 유전체, 개인건강정보관리(PHR) 등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병원은 물론 제약사, 의료기기사, 보험사, 식품사 등 헬스케어 관련 기업에 전달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 바이오빅데이터플랫폼의 목표다.

전국 39개 병원과 21개 기업, 기관이 컨소시엄을 꾸려 개발 중인 바이오빅데이터플랫폼은 제도적, 기술적, 경제적 문제를 고려해 분산형 방식을 따르고 있다. 데이터 원본을 사업에 그대로 사용하려면 개인마다 정보 제공 동의를 받고 비식별화해야 하지만 불가능한 까닭이다. 의료데이터를 제공해야 할 병원의 데이터 포맷이 모두 다르고 각 데이터들의 가치 선정이 어려운 점 문제다.

최 MD는 “규제, 기술적 문제를 고려해 원본 데이터는 병원에 두고 병원에 공통 데이터모델(CDM) 포맷을 만들어 바이오빅데이터센터가 제공한 분석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게 한다”며 “분석 결과만 사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이 공통 데이터모델(CDM) 포맷을 구축하긴 어려우니 솔루션 기업 에비드넷이 대신 구축하고 병원은 지원 인력만 갖추면 된다”고 덧붙였다.

분산형 바이오빅데이터플랫폼은 이미 사례가 있다.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 병원, 의료기관이 만든 협의체 글로벌 오딧세이(OHDSI)는 데이터를 분석해 약물 부작용을 검사하는 오몹(OMOP) CDM을 구축했다. 지난달까지 15억명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최 MD는 “미국 식품의약청(FDA)도 약물 부작용 조사에 OMOP CDM을 활용했다”고 말했다.

병원과 AI 스타트업이 협력해 정밀 의료를 위한 지능형 의료소프트웨어도 개발 중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시범사업으로 의료데이터와 이를 모아두는 의료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이 핵심이다. 진료와 영상 자료, 유전체,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 분석해 8가지 심혈관·암·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 예측하고 치료를 보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김영학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스타트업 18곳과 함께 정밀의료 지능형 소프트웨 ‘닥터 앤써(Dr.answer)를 개발 중”이라며 “심뇌혈관질환, 유방암, 치매, 소아희귀난치성 등 개발하려는 소프트웨어마다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셋 종류가 다르다. 사업을 완료한 후 다른 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사업에서 확보할 의료데이터는 AI 스타트업에 큰 도움이 되는 학습자료가 될 수 있다”먀 “앞으로 더 많은 기업들이 의료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새로운 AI 의료서비스를 만들게 하는 것이 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 “의료데이터 사용·표준화 반드시 필요”

 

(이하 생략)

 

 

전체기사 보기: https://zdnet.co.kr/view/?no=20180530142524